고려인삼 분투기
link  호호맘   2021-06-09

인삼재배의 과정은 황석영의 소설 에 자세히 나온다.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일대에서 최초로 재배에
성공한 인삼을 개성상인들이 받아들여 기업화시키는 과정이 약간의 허구를 통해 이렇게 묘사되고 있다.

개성상인 박대근은 어느 날 한 모녀를 만난다. 그들의 말인즉슨
"저희는 일찍이 전라도 화순에서 살았습니다. 저희 이웃 고을인 동복에서는 어떤 이가 벌써 산삼 모종을 내었습니다.
바깥어른도 재배법을 익히셔서 삼포를 마련하시고는 다달이 적어놓으셨어요. 드디어 첫 재배에 성공하셔서 열 뿌리를
견본으로 골라 지니고 오셨스니다. 그렇지만 하루가 한달이요, 한달이 일년이 넘어 어언 삼년이 넘도록 종무소식이라,
저혼자 저것들을 데리고 무작정 송도엘 왔지요. 아마 노상에서 앓다가 돌아가신 게 분명합니다. 그래서 제가 주인의
어깨너머루 모아 두었던 묘포 재배를 해보구 있었습니다. 가장이 돌아오지 않으니 우리두 살 방도를 찾아야지요.
그러나 피땀으로 이루어 놓은 비법을 아무에게나 알릴 수도 팔아넘길 수도 없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소규모 재배농가의 특산품이 기업적인 상품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실재로는
연대가 잘 맞지 않는다. 에 박유철이라는 개성상인이 인삼의 기업적 재배에 앞장섰다고 되어있는데
장길산 시대의 인물이라는 박대근과 정조시대의 박유철은 시대가 한참 다르고, 오히려 조선 최고의 거상
임상옥과 비슷한 시대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인삼재배의 성공기가 아니라 인삼재배를 할 수 밖에 없었던
민중의 고난기다. 인삼의 가치를 인정받는 만큼 인삼의 쓸모가 지대해지자 인삼이 나는 고을마다 인삼을 바치라는
요구가 쇄도했고, 조선후기로 가면 인삼을 바칠 수 없어 살던 고향을 떠나 떠도는 유민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될
정도였다.

인삼재배는 이런 인삼 공납의 고통을 벗어나기 위한 민중의 몸부림이었던 것이다.







연관 키워드
고혈압, 고삼, 풍기, 좋은산삼, 풍기인삼농협, 금산인삼, 인삼홍삼사과인견풍기인삼풍기홍삼흑삼건강, 심마니, 인삼풍기인삼홍삼풍기홍삼뇌두, 인삼, 사포닌, 보약, 풍수, 산삼의나이, 백두산, 산삼, 인삼풍기홍삼, 산삼의품질, 천종산삼, 100년산삼
Made By 호가계부